Weekly News Letters (2024년 07월 셋째주)

AI, 바이오, 헬스케어, 콘텐츠, 스타트업, VC
도리's avatar
Jul 21, 2024
Weekly News Letters (2024년 07월 셋째주)

[클릭AI] 소프트뱅크, 영국 반도체 스타트업 그래프코어 인수 | AI타임즈

  • 소프트뱅크가 AI 기술 분야의 입지 강화 차원에서 AI 전용 처리 장치 IPU(Intelligence Processing Unit, 지능 처리 장치) 개발 기업 그래프코어를 인수했다.

  • IPU는 CPU 및 GPU와 달리 메모리를 칩 내부에 배치해 입력 지연을 줄이고,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AI 전용 처리 칩이다.

  • ‘20년 마지막 투자 라운드(시리즈E)에서 기업가치 $2.8B(3.9조원)을 인정 받았으나, 상용화의 어려움을 겪으며 약 $500M억(6,914억 원)에 인수된 것으로 추정된다.

패트로누스 AI, GPT-4보다 똑똑한 '헛소리 탐지기' 오픈 소스 출시 | AI타임즈

  • 패트로누스 AI가 LLM에서 환각(Hallucination)을 감지하는 모델 링크스(Lynx)를 공개했다.

  • 링크스-8B와 링크스-70B는 각각 라마-3-8B-인스트럭트와 라마-3-70B-인스트럭트를 파인튜닝한 모델로, 단계 별 추론을 사용해 AI 답변의 퀄리티를 높이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인 CoT(Chain-of-Thought)을 적용하여 감지하기 어려운 환각을 포착하는데 강점이 있다.

  • 다양한 환각 평가 벤치마크를 실시한 결과, 링크스가 GPT-4o, 클로드 3 소네트, 오픈소스 모델(라마)보다 더 정확하게 환각을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노보홀딩스, J&J Innovation-JJDC 등 참여..경구용 ‘OGA 저해제’, 병리학적 타우 단백질 응집 막아 알츠하이머병(AD) 진행 억제 | 바이오스펙테이터

  • 알츠하이머 신약을 개발 중인 스위스 바이오텍 어시뉴련(Asceneuron)이 시리즈C 라운드를 통해 $100M(1,400억원)을 조달하였다.

  • 어시뉴런은 알츠하이머 발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의 응집과 관련된 효소를 억제하는 기전의 저분자화합물 신약을 개발 중이다.

  • 새로운 기전인데다 저분자화합물 치료제로 경구 투여가 가능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 받아 노보홀딩스가 리드 하에 EQT 라이프사이언스-LSP 디멘시아펀드, GSK Equities Investment Limited, J&J Innovation-JJDC 등이 참여하였다.

오름, 버텍스와 ‘항체-분해약물접합체(DAC)‘ 9.45弗 딜 | 바이오스펙테이터

  • 오름테라퓨틱스가 버텍스파마슈티컬(Vertex Pharmaceuticals)에 항체-분해약물접합체(Degrader-antibody Conjugates, DAC) 기술을 이전한다 (Upfront $15M(207억원), Milestone 포함 총 계약 규모 $900M(1.2조원)).

  • 버텍스는 글로벌 최초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카스게비를 출시한 기업으로, 카스게비 투여 전 실시되는 부설판(Busulfan) 전처치요법에 따른 부작용(특발성 폐렴 등) 완화 목적으로 표적 전처치에 DAC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.

  • 오름은 ‘23년 11월 BMS에 ORM-6151 (CDSS(항체)-분해약물접합체)을 매각하는 딜을 체결한 바 있다 (Upfront $100M).

    (참고) 8년차 바이오텍 ‘오름테라퓨틱‘이 빅파마딜 성공한 비법

Diabetes Technology & Therapeutics 게제..무선주파수(RF) 기반 혈당상태 분석, 혈액 혈당 측정 대비 정확도 93.37% | 바이오스펙테이터

  • 북미 노우랩스(Know Labs)가 무선주파수(Radiofrequency, RF) 기반의 비침습적 혈당측정기로 혈당을 분석한 머신러닝(ML) 알고리즘 POC 임상결과를 발표했다.

  • 연구는 전당뇨 또는 제2형 당뇨병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정맥혈 혈당 측정기 대비 정확도는 93.4%이었다.

  • 노우랩스는 RF 기반의 연속혈당측정기(Continuous glucose monitor, CGM)를 개발할 계획이다.

'약배달' 닥터나우, 규제 많은 한국 말고 일본 진출 승부수 | 더벨

  • ‘19년 설립된 국내 1위 비대면 진료 및 약 배달 기업 닥터나우가 일본 진출할 예정이다.

  • 닥터나우는 회원가입수 200만명, 제휴의료기관 3,000곳, 누적 결제액 313억원을 달성했으며, ‘22년 마지막 투자 라운드(시리즈B)에서 Pre-Money 1,600억원을 인정 받았다.

  • 원격진료 및 약배달에 대한 국내 규제 문제로 사업 확장이 제한되자, 관련 규제가 전면 허용된 일본 진출로 사업 방향을 선회했다.

토모큐브, 코스닥 예심 통과..“4분기 상장 목표” | 바이오스펙테이터

  • 한국거래소가 ‘24년 4월에 제출한 토모큐브(주관사 대신증권)의 예비심사청구서를 승인하여 4분기 코스닥 상장이 예상된다.

  • 토모큐브(누적 442억원 유치, 기술평가 A, A 등급)는 세포 이미징 장비 및 SW 기업으로, 홀로토모그래피(Holotomography) 기술을 적용하여 세포 염색 없이 세포의 미세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AI 기반으로 세포간 상호작용도 분석할 수 있다.

  • ‘23년 매출액 37.5억원 달성했으며, ‘22년 출시한 2세대 장비 HT-X1의 비중은 81.5%, 수출 비중은 63.5%이다.

10년래 최악 상황…“유명 배우도 출연할데 없다” 넷플릭스발 ‘셧다운’ | 헤럴드경제

  • 넷플릭스가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내 배우와 콘텐츠 제작을 독점하며 제작 원가 상승을 이끈데다 광고시장 침체까지 이어지며 국내 미디어 콘텐츠 생태계 전반이 위기에 빠졌다.

  • ‘23년 통신사 IPTV의 VOD 매출은 20% 급감하여 ‘1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, 케이블TV는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.

  • 국내 OTT 서비스(티빙, 웨이브)는 ‘23년 드라마 공개 편수를 ‘22년의 50%로 줄였다.

  • 넷플릭스 역시 비용 절감을 위해 자체 콘텐츠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단기적으로 콘텐츠 제작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.

Share article

도리의 반추